왼쪽은 민주당 강기정 의원실이 제공한 국가보훈처 DVD, 오른쪽은 국정원 동영상. 동영상 제작자는 “김정은 주택의 위성사진 등은 외부에서 구할 수가 없다. 국정원에서 제공받았다”라고 말했다.
왼쪽은 민주당 강기정 의원실이 제공한 국가보훈처 DVD, 오른쪽은 국정원 동영상. 동영상 제작자는 “김정은 주택의 위성사진 등은 외부에서 구할 수가 없다. 국정원에서 제공받았다”라고 말했다.

국정원에 납품한 영상, 보훈처 DVD에 실렸다.

국정원이 제작을 의뢰해 납품받은 보훈 관련 동영상을 <시사IN>이 다수 입수했다.
이 동영상과 대선 개입 의혹을 불러일으킨 보훈처 DVD를 비교해보니 일부 동영상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장면이 똑같았다.

고제규 기자(unjusa@sisain.co.kr)
김은지 기자(smile@sisain.co.kr)

대선 개입 의혹 논란이 일었던 국가보훈처 <호국보훈교육> DVD 교재 일부가 국가정보원 자료인 것으로 <시사IN> 취재 결과 확인됐다. 광우병 쇠고기 반대 촛불집회나 쌍용차 파업,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 반대 등 야당이나 시민단체 활동을 ‘종북’으로 비판한 보훈처 DVD는, 11개 세트 58개 동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시사IN> 제321호 ‘노무현 지지 모임이 북한지령 받고 활동?’ 참조). 보훈처는 대선이 치러진 2012년 이 DVD를 전국 학교에 배포했고, 1411회 강연하고 연인원 200만명가량이 보았다고 민주당 강기정 의원이 밝힌 바 있다. 대선 개입 논란이 일자,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은 국감에서 “DVD 협찬자(제공자)가 밝히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에 누구인지 답변하기 어렵다”라고 말했다.

국정원 동영상이 보훈처 DVD보다 먼저 제작

<시사IN>은 국가정보원이 제작을 의뢰했다가 납품받은 보훈 관련 동영상을 다수 입수했다. 동영상뿐 아니라 세금계산서 등 관련 자료와 증언도 확보했다. <시사IN>이 입수한 동영상과 대선 개입 의혹을 불러일으킨 보훈처 DVD를 비교해보니 일부 동영상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장면이 똑같았다. 상당 부분 장면이 일치하는 동영상도 많았다. 국정원으로부터 안보 관련 동영상 제작을 의뢰받아 납품한 김철희씨(가명)는 “보훈처 DVD 가운데 3개는 내가 만들어 국정원에 납품한 것과 똑 같다”라고 증언했다(“내가 제작한 동영상이 논란 일으켜 충격” 인터뷰 참조). 김씨가 국정원에 동영상을 납품하고 받은 세금계산서에는 명의가 7452부대로 되어 있었다(국정원의 대외용 이름 ‘5163부대’ 기사 참조). 7452부대는 국정원 댓글 사건의 장본인인 김하영 직원의 변호사비를 대납한 사실이 밝혀져 그 실체를 두고 논란이 인 바 있다.

국정원 동영상


국가보훈처 동영상

제작 시기로 보면 민간업체가 국정원에 납품한 동영상이 보훈처 DVD보다 앞섰다. 국정원 동영상이 보훈처 DVD 세트를 구성하는 데 쓰였음을 추론케 한다. 김철희씨는 “국정원이 그동안 납품받아 가지고 있던 여러 동영상이 보훈처 DVD 세트로 구성된 것 같다”라고 추정했다.

처음부터 끝까지 일치하는 3개뿐 아니라 김씨가 만든 국정원 동영상과 보훈처 DVD는 많은 부분이 겹쳤다. 이를테면, 보훈처 DVD 여덟 번째 CD 중 ‘그들만의 파라다이스, 북한’ 편에 나오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선글라스를 낀 채 술을 마시고 그가 마시는 양주 브랜드를 보여주는 장면은 자막이 있고 없고만 차이가 날 뿐 국정원 동영상과 동일했다(아래 두 번째 사진 참조). 북한의 선전물 ‘우리는 행복해요’ ‘세상에 부럼 없어라’와 같은 네온사인 또한 국정원 동영상과 국가보훈처 DVD 화면이 같았다.

공개처형, 북한의 기아.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양주를 마시는 장면
기쁨조 공연

북한 수용소의 참상을 알리는 수기 그림 또한 국정원 동영상과 국가보훈처 DVD 양쪽에 다 나오는 장면이었다. 차이가 있다면 보훈처는 각각의 그림을 따로따로 슬라이드 형식으로 DVD 세트 안에 정리를 해놓은 데 비해, 국정원 동영상은 한 장면 안에 그림 10개를 격자무늬 식으로 배치해놓았다. 같은 원자료를 써서 화면을 재구성한 것이다. 공개처형이나 기아에 허덕이는 북한 주민 모습은 같은 앵글과 같은 장면이 반복적으로 보훈처와 국정원 동영상에 등장했다.

“모든 사람이 다 같이 흰 쌀밥에 고깃국을 먹으며 비단옷을 입고 기와집에 살려는 우리 인민의 세기적 염원을 실현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1993년 김일성 신년사 장면과 말을 타고 있는 김정일, 그리고 화려한 폭죽을 터뜨리는 북한 시내의 모습 등도 국정원과 보훈처 동영상에 모두 나온다. 국경을 넘는 탈북자를 적외선 카메라로 찍거나 꽁보리밥이 담긴 도시락을 클로즈업하는 장면은 앵글까지 동일하다.

동영상을 국정원에 납품한 김철희씨는 “김정은 주택의 위성사진이나 기쁨조 동영상은 외부에서 구할 수가 없다. 저런 장면은 국정원에서 제공받았다. 국정원도 이런저런 것은 꼭 들어가야 할 장면이라며 동영상 자료를 제공했다”라고 말했다. 김씨 외 국정원에 동영상을 납품한 또 다른 관계자도 “국정원에서 동영상 제작을 맡기면서 자신들이 가진 자료를 건네준다”라고 말했다.

국정원은 이런 안보 관련 동영상을 보통 외주를 주고 납품을 받아왔다. 외주를 주면서 관련 업체로부터 보안각서를 받았다. 제작 후에는 국정원이 제공한 동영상뿐 아니라 작업한 컴퓨터 하드디스크 자체를 가져갔다. 김씨의 증언과 관련 서류를 보면, 보훈처 DVD 제공자는 국정원일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인다. 이런 의혹에 대해 국정원 관계자는 “외부 업체에 의뢰해 동영상을 제작한 것은 맞지만 직원 교육용으로 만든 것이다. 국가보훈처 등 외부 기관이나 단체에 제공하지 않았다”라고 해명했다. 보훈처 관계자도 “10월 국감에서 보훈처장이 제공자를 밝힐 수 없다고 답변한 것 이상으로 더 드릴 말씀이 없다”라고 말했다.

‘국정원 동영상’에 대해 설명하는 제보자. 신변 보호를 위해 실루엣으로 처리했다. ⓒ시사IN 윤무영

“내가 제작한 동영상이 논란 일으켜 충격”

<시사IN>은 논란이 된 보훈처 DVD에 사용된 동영상을 제작한 인물을 만났다.
그는 국정원에서 동영상 제작 의뢰를 받았다고 말했다. 보훈처에서 제작 의뢰를 받은 적은 없었다.

김은지 기자(smile@sisain.co.kr)

김철희씨(가명)는 국가정보원으로부터 동영상 제작 의뢰를 두 차례 받았다. 김씨는 자신이 제작해 국정원에 납품한 동영상이 최근 논란이 된 국가보훈처 DVD 가운데 일부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김씨로부터 동영상이 제작된 과정을 들었다. 다만 김씨의 신변 보호를 위해 인터뷰는 가명으로 실으며, 그가 관여한 DVD 제목도 밝히지 않는다.

논란이 된 국가보훈처 DVD 가운데 본인이 국정원에 납품한 게 있나?
동영상을 모두 보았더니, 세 개는 내가 제작해 국정원에 납품한 것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똑같았다. 내가 관여한 동영상이 보훈처로 넘어가 대선 관련 논란을 일으켰다는 데 충격을 받았다. 보훈처로부터는 제작 의뢰를 받은 자체가 없다.

국정원에서 제작을 의뢰할 때 용도를 밝혔나?
보훈처 DVD에 포함된, 내가 만든 동영상은 전국 도서관 등에 안보 교육용으로 배포하겠다고 했다. 어디에 쓸지 밝히지 않은 동영상도 있었다. 4~5년 전에 납품한 동영상인데, 이것이 보훈처 DVD 세트로 묶였다. 아마도 국정원에서 이런 식으로 여러 동영상 제작 업체로부터 받은 동영상을 묶어서 세트로 만든 것 같다.

그 외에도 당신이 제작한 동영상과 보훈처 DVD에 일부 화면이라도 같은 게 있나?
그렇다. 국정원에서 동영상 제작을 의뢰하면 ‘이 부분은 꼭 들어가야 한다’며 자체 보유한 동영상 자료를 준다. 김정은 호화주택 사진이나 별장 위성사진, 기쁨조 공연 화면 등이다. 이 자료는 국정원만 가진, 외부에서 구하기 힘든 자료라고 들었다. 국정원이 특히 꼭 넣어달라고 자주 요구하는 장면은 김정일의 요리사였던 후지모토 겐지 인터뷰다. 후지모토 겐지 인터뷰와 기쁨조 공연 등은 국정원이 동영상을 만들 때 꼭 넣어달라고 강조를 하다 보니, 업체마다 겹치는 것 같다. 보훈처 DVD 세트에도 그런 국정원 동영상이 많이 들어가 있다.

국정원이 동영상 제작을 의뢰하면서 자료를 많이 제공하나?
보통 한 편 제작하면 전체 내용의 50~60% 자료를 국정원에서 제공받기도 한다. 국정원은 동영상 자료를 줄 때 보안각서를 받아간다. ‘동영상을 밖으로 유출하면 책임을 묻는다’ 따위 경고가 적혀 있다. 맨 마지막에 사인을 하는 공란이 있고 보안각서 수신자 명의는 ‘국가정보원장 귀하’라고 되어 있다. 매번 수주받을 때마다 각서를 썼다. 다 만들면 제작한 동영상과 작업한 컴퓨터 하드디스크 자체를 국정원에 같이 넘겼다. 국정원이 다시 수정 요구를 하는 경우도 있다. 수정 작업이 끝나면 통장으로 제작비가 입금되었다.

통장 입금자 명의는 항상 ‘7452부대’였나?
맞다. 나도 처음에 왜 ‘국정원’ ‘국가정보원’이 아니라 ‘7452부대’인지 궁금했는데 약속한 돈이 입금되니까 더 이상 묻지 않았다. 그 뒤로는 7452부대 하면 국정원으로 여겼다.

어떻게 국정원으로부터 수주하게 되었나?
쉽게 할 수는 없다. 국정원에 납품하려면 국정원 직원과 연이 닿아야 한다. 그렇게 한번 연결된 다음부터는 믿을 수 있는 사람이라고 보았는지 계속 맡겼다. 아마도 업체 리스트를 따로 보관하고 있는 것 같았다. 담당자가 바뀌어도 제작 의뢰가 왔다. 나뿐만 아니라 다른 동영상 관련 업체 사람들도 국정원 표현을 빌리면 ‘관리’를 받았다. 관리라는 게 다른 것은 아니고, 국정원 출판사로 알려진 ‘인영사’에서 펴낸 <반대세의 비밀, 그 일그러진 초상> <북한귀족 섹스문화 엿보기> 등을 보내주었다.

통장뿐만 아니라 세금계산서에도 명의가 ‘7452부대’라고 적혀 있다.
국정원에 영상 납품을 한 적 있는 동영상 제작자의 통장 계좌.

국정원의 위장 명칭 7452부대, 5163부대

국정원 김하영 직원의 개인 변호사비가 ‘7452부대’ 명의로 입금되었다.
국정원은 ‘입금자는 국정원이 맞지만, 이름은 우연히 쓴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취재 결과 박정희 전 대통령과 관련이 깊었다.

고제규 기자(smile@sisain.co.kr)

김철희씨(가명)는 댓글 의혹 사건으로 재판을 받는 국정원 김하영 직원의 개인 변호사비가 ‘7452부대’ 명의로 입금되었다는 뉴스를 보고 통장이 있던 서랍을 뒤졌다. 통장을 꺼내 보니, 입금자 이름에 ‘7452부대’가 찍혀 있었다. 국가정보원에 동영상을 납품하고 돈을 받았을 때, 자신의 계좌에 선명하게 찍힌 부대 이름이었다(사진 참조). 그가 영상을 납품하고 받은 세금계산서에도 ‘공급 받는 자’에 7452부대라고 쓰여 있었다.

‘7452부대’ 존재를 두고 논란이 일자, 국정원 관계자는 “7452부대 명의로 김하영 직원 변호사비를 송금한 것은 맞다. 송금 담당자가 근거를 남겨야 하니, 계좌로 송금하면서 7452부대라고 임의로 쓴 것이다”라고 해명했다. 7452부대는 국정원이 맞지만, 우연히 쓴 것이라고 인정한 셈이다.

또 다른 ‘국정원의 대외용 이름’, 5163부대

그러나 <시사IN> 취재 결과 ‘7452부대’는 국정원의 대외용 위장 명칭으로 자주 사용돼 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7452부대’와 함께 국정원이 사용하는 위장 명칭은 또 있다. ‘5163 부대’이다. 5163부대와 7452부대는 국정원 직원들이 은행 대출을 받거나 외부 기관에 재직증명서를 낼 때도 사용된 이름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5163부대라고 재직증명서에 적혀 있어서 군무원인 줄 알았는데, 주소지가 국정원과 같은 내곡동이었다”라고 말했다. 대출 업무를 맡았던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국정원 직원을 대상으로 대출 업무를 했는데, 재직증명서에 ‘7452부대’라고 되어 있어서 본점 심사부에 문의하니 국정원이라고 알려주었다. ‘7452부대’라는 재직증명서를 제출하면 재직 여부에 대한 확인 없이 대출이 진행된다며 심사부에서 대출 승인을 해주었다”라고 말했다.

대외용으로 쓰는 5163부대나 7452부대라는 이름은 둘 다 박정희 전 대통령과 관련이 깊다. 북파 공작원도 한때 중앙정보부 5163부대 소속이었는데, 5163부대 이름은 5·16 쿠데타 때 박정희 소장이 새벽 3시에 한강철교를 넘었다는 데서 숫자만 따온 것으로 알려졌다. 7452부대는 1972년 박정희 대통령과 김일성 주석이 발표한 7·4 남북공동성명과 관련이 있다. 당시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은 협상을 위해 극비리에 판문점을 건너가 김일성 주석을 만났다. 국정원 전신인 중앙정보부의 수장 이후락이 판문점을 넘어간 날이 바로 5월2일이다. 사정기관의 한 관계자는 “7·4 남북공동성명에서 ‘74’와 중정부장이 처음으로 분단선을 넘은 5월2일의 ‘52’를 따서 7452부대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으로 안다”라고 말했다.

5163부대나 7452부대 명칭 전에 국정원이 즐겨 사용한 위장 이름은 주로 ‘00문화사’ ‘000연구소’ 따위였다. 김대중 정부 시절인 2000년 검찰은 새누리당 전신인 민자당(신한국당)이 1995년 지방선거와 1996년 총선에서 1000억원이 넘는 안기부 예산을 빼돌려 선거자금으로 썼다는 이른바 ‘안풍’ 수사를 벌였다. 당시 검찰의 계좌추적 결과 안기부가 시중은행에 개설한 계좌명이 드러났는데, 이때 안기부의 위장 이름이 ‘세기문화사’ ‘우주홍보사’ ‘국제문화연구소’ ‘동진문화원’ ‘일신문예진흥원’ ‘태양문화사’였다. 사정기관의 관계자는 “이때 이후 세기문화사 같은 이름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안다”라고 말했다.

국정원 사건 타임라인


0 Comments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